본문 바로가기

제주도 미세플라스틱 인체영향 해결방안 정리

안녕하십니까 by 스타바리 2023. 3. 23.
반응형

제주도 지하수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미세플라스틱 관련하여 인체영향, 해결방안 등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제주도 지하수에서 미세플라스틱 검출?

국내의 대표적인 청정지역 제주도의 지하수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소식입니다. 양은 L당 평균 0.07개 수준으로 성인이 하루 2리터의 물을 마셨을 때 7일 동안 미세플라스틱 한 개를 섭취하게 되는 정도의 양입니다. 제주도의 북동 지역 지하수 관정 11곳과 용천수 2곳, 제주도의 남서 지역 지하수 관정 7곳을 조사한 결과입니다. 제주도 지하수의 미세플라스틱 오염은 비닐하우스 재배나 플라스틱 멀칭 등 농업 활동 관련이 원인이라고 합니다.

 

 

미세플라스틱이란?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은 의도적으로 제조되었거나 기존 제품이 조각나서 미세화된 크기 5mm 이하의 합성 고분자화합물을 말합니다. 미세플라스틱은 생성 기원에 따라 1차와 2차로 구분됩니다.

  • 1차 미세플라스틱 : 의도적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알갱이로서 크기 2-5mm의 플라스틱 원료물질인 레진펠렛, 세안제와 치약에 들어 있는 마이크로비즈로 불리는 스크럽제, 공업용 연마제 등이 포함됩니다.
  • 2차 미세플라스틱 : 플라스틱 제품이 사용되는 과정이나 버려진 이후에 인위적인 행위 또는 자연 풍화에 의해 조각나고 미세화된 플라스틱 파편을 말합니다.

 

미세플라스틱 인체영향

미세플라스틱이 생명체에 흡수되어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최상위 포식자인 인간이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 생물을 먹게 되며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주는 영향 중 첫 번째는 플라스틱이 미세플라스틱으로 부서지는 과정에서 뾰족하거나 예리한 형태로 부서지는데 이것이 인체에 물리적인 자극을 줘서 독성을 유발하는 물리적 독성입니다.

두 번째는 환경호르몬이 주는 화학적 독성입니다. 플라스틱은 폴리머로써 용도에 따라 특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화학물질을 첨가하는 데 이것이 대부분 환경호르몬입니다. 플라스틱의 특성을 가지고있는 미세플라스틱도 환경호르몬을 배출해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미세플라스틱을 통해 다양한 오염물질을 옮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물질이 쉽게 달라붙을 수 있는 플라스틱의 구조상 미세플라스틱으로 옮겨진 미생물이나 바이러스 등이 생물학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입니다.

 

일상 속 미세플라스틱 제품

  • 일회용 종이컵과 일회용기 : 다회용기와 일회용기의 미세플라스틱 검출량을 비교한 결과, 일회용기는 다회용기에 비해 미세플라스틱이 3배~4.5배 이상 많이 검출되었다고 합니다. 일회용기중 가장 많은 미세플라스틱은 배달용 탕용기로 평균 29.5개가 검출되었습니다. 또한 일회용 종이컵은 13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습니다.
  • 티백 : 피라미드 티백으로도 불리는 삼각 티백으로 우려낸 티 한 잔을 마실 때마다 수십억 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까지 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 물티슈 : 우리가 쉽게 쓰고 버리는 물티슈는 종이가 아닌 플라스틱입니다. 대부분의 물티슈는 플라스틱 화학섬유인 폴리에스테르로 만들어졌고, 이 물질은 비분해성 물질입니다.
  • 그외에도 삼겹살을 구울 때의 종이호일이나 생수필터, 섬유유연제 등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됩니다.

 

 

미세플라스틱 해결방안

  • 개인이 미세플라스틱 사용 줄이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일상생활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미세플라스틱 제품을 최소화하여 사용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일회용기, 티백, 물티슈 등의 사용을 줄이고, 친환경 제품을 사용하며, 재사용 가능한 제품을 사용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
  • 산업과 기업에서도 미세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도록 노력해야합니다. 생산과정에서의 미세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음식점에서는 다회용 용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정책 관련하여 노력을 해야합니다. ​미세플라스틱 오염 문제의 해결을 위해 쓰레기 처리 시설을 개선하고, 재활용 시설 또한 개선해야 합니다. 일회용품과 플라스틱 쓰레기 등과 같은 규정을 정비하고 적극 도입하는 등 다양한 해결방안에 대한 정책 관련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