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생산직 채용 공고가 발표되었습니다. 인재채용 페이지와 입사지원 페이지를 안내해드리고, 채용기간, 지원자격, 우대사항, 전형단계, 직무상세 등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현대자동차 인재채용 페이지 바로가기
https://talent.hyundai.com/story/967/view.hc
현대자동차 인재채용
talent.hyundai.com
현대자동차 생산직(기술직) 입사지원 페이지 바로가기
https://talent.hyundai.com/apply/applyView.hc?recuYy=2023&recuType=N4&recuCls=12
현대자동차 인재채용
talent.hyundai.com
현대자동차 기술직(생산직)이란?
현대자동차의 기술직(생산직)은 제조업의 핵심인 생산부문에서 차량을 제조하는 기술인력입니다. 상품기획 단계부터 수년간의 연구와 개발을 거친 차량 설계도는 공장에서 완벽한 품질로 생산된 후에야 빛을 발하게 되는데, 현대자동차 생산공장은 많은 분야에서 힘을 모아 출시한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완성해내는 최종 관문인 것입니다. 수만 개의 부품이 정교하게 모여 완성되는 자동차의 매력을 이해하는 차량전문가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현대자동차 채용 인기
현대자동차는 노사임금협상을 통해 정년이 보장됩니다. 정년을 보장받으면서 고연봉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정된 직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복지혜택 또한 좋습니다. 근속연수에 따라 2년에 한번씩 최대 30%의 신차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셋째 자녀까지 대학교 등록금 학비를 지원한다는 점도 큰 메리트 같습니다. 또한 좋은 근무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간 2교대 근무를 시행하고 있는 점입니다.
현대자동차 생산직 채용 기간, 자격, 절차, 우대사항
모집부문은 자동차 생산 부분입니다. 모집기간은 3/2(목)-3/12(일) 21시입니다. 모집인원은 400명입니다. 지원자격은 고등학교 졸업 이상 및 동등 학력 이수자, 해외여행에 결격 사유가 없으신 분, 남성의 경우, 병역을 마치셨거나 면제인 분입니다. 모집부문은 자동차 제조 및 조립 기술인력, 전문기술인력입니다. 지원서를 접수하고, 서류전형, 1차면접, 2차면접, 신체검사를 차례로 하여 선발됩니다. 우대사항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는 국가기술자격 항목 중 자동차 생산 직무와 관련된 자격증에 한합니다.
현대자동차 생산직 직무 상세 설명
자동차 생산 직무는 우수한 품질의 차량을 적기에 양산하여 공급하기 위한 생산활동 전반에 걸친 업무를 수행합니다. 직접생산부문 (완성차 및 파워트레인 생산)과 간접생산부문 (설비, 생산, 품질관리)로 나뉩니다. 완성차 생산의 경우 4개 공정(프레스-차체-도장-의장)으로 구성되며, 파워트레인 생산의 경우 소재-엔진 및 변속기 공정과 시트생산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직접생산부문
완성차 생산 공정의 전반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프레스 공정은 자동차를 만드는 첫 번째 과정으로 고압 프레스 기계에 금형을 장착 후 강한 압력으로 철판을 변형이켜 판넬을 제작하는 공정입니다. 차체 공정은 프레스 가공으로 만든 패널들을 조립하고 용접하여 차의 모양을 만들며 높은 정밀도와 안정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공정입니다. 도장 공정은 부식으로부터 소재를 보호하고 아름다운 색채로 외관을 향상하며 다른 차량과 구별하는 기능을 위한 페인팅 공정입니다. 의장 공정은 차체와 실내외 부품을 장착하고, 기계부품을 조립하며 전장부품과 배선, 배관 작업을 함으로써 차량을 완성하는 최종 공정입니다.
파워트레인 시트 생산 공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소재 공정은 완성차 엔진 및 변속기의 기초재료가 되는 주물 소재를 생산하는 공정입니다. 엔진 변속기 공정은 소재 공정에서 생산된 엔진 변속기 부품을 조립하여, 완성차의 엔진 및 변속기를 생산하는 공정입니다. 시트 공정은 완성차에 탑재되는 시트를 생산하는 공정입니다.
간접생산부문
설비관리 부문은 자동차 생산에 필요한 자동화 설비의 최적상태 유지 및 보수를 통해 양산품질 및 가동률을 확보 하고 최적화 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주로 설비점검(예방, 예지, 계획보전), 고장조치(사후보전), 신설비를 도입할 때 최고 사양을 반영하는 등 일련의 제반업무를 통해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는 부문입니다.
생산관리 부문은 차량의 제조과정에서 필요한 자재를 공정의 특성에 따라 적재적소에 공급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자재 불출 및 자재 입고, 보관, 배치 등 자재 공급에 관련되어 있는 업무를 수행하며 이를 토대로 생산활동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합니다.
품질관리 부문은 차량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품질문제를 검출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외관, 작동, 기능, 사양, 조립 상태 등을 점검하며,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품질 문제를 조기에 식별 하고 조치하여 높은 품질의 제품이 생산될 수 있도록 합니다.
기타 유의사항
- 인재채용 홈페이지의 '지원하기'는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현대자동차 인재채용 홈페이지 → FAQs → 공지사항에서 '작성가이드'를 확인하시고 작성바랍니다.
현대자동차 인재채용
talent.hyundai.com
- 중복지원은 제한됩니다. 동일 기간동안 진행 중인 타 공고에 중복으로 지원할 수 없습니다. 접수 기간이 종료되지 않은 공고에 지원 중인 경우, 기존 지원서 제출을 취소하시면 새로운 공고에 지원 가능합니다. 또한 기존 진행 중인 공고에서 불합격 통보를 받은 경우, 새로운 공고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
- 접수마감일의 지원서 접수 폭증으로 인해 입사지원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지원서를 제출하더라도 접수 마감일(3/12, 21시)전에는 수정이 가능하니, 여유있게 미리 제출 하시기 바랍니다.
- 취업보호대상자(장애, 보훈 등)는 관계 법령에 의거하여 우대합니다.
- 지원서 접수는 현대자동차 채용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하며, 그 외의 개별 접수는 받지 않습니다.
- 채용관련 문의는 이메일 recruit_plant@hyundai.com을 통한 접수만 답변가능합니다.
자소서 항목
가장 중요한 자소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신이 '모빌리티 기술인력'이라고 생각하는 이유와 남들과 차별화된 본인만의 강점을 기술해 주십시오.(700자 이내)
2. 협업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해본 경험과 그 과정에서 느꼈던 본인 성격의 단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말씀해주세요.(600자 이내)
3. 스스로 목표를 설정해서 달성해나가는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과 극복해낸 방법을 말씀해 주십시오. (700자 이내)
Q&A
Q. 전문대 졸업도 고등학교 성적과 출결 및 행동발달사항을 입력해야 하나요?
A. 최종학력과 상관없이 고등학교 성적, 출결 및 행동발달사항은 필수로 입력하셔야 합니다.
Q. 군 복무 중인데 지원이 가능할까요?
A. 남성의 경우 지원서 접수 마감일까지 병역을 마쳤거나 혹은 면제되신 분에 한해 지원이 가능합니다.
Q. 재학 중인 경우 최종학력은 어떻게 선택해야 하나요?
A. 최종학력은 졸업예정 및 졸업인 학위에 한해 체크해 주시기 바라며, 본인의 학력 상태는 학위증명서를 기준으로 확인 바랍니다.
Q. 취득한 자격증이 5개를 초과하는 경우 어떻게 입력해야 하나요?
A. 중요도 순으로 5개만 입력 바랍니다.
Q. 현재 직장인으로 재직 중입니다. 경력사항의 근무 종료일자는 언제로 입력해야 하나요?
A. 지원서 접수 마감일을 근무 종료일자로 입력 바랍니다.
Q. 외국어 자격증은 어떻게 입력하면 될까요? / 한국사 등 유효기간 없는 자격증은 그냥 기재하면 될까요?
A. 한국산업인력공단 시행 종목 중 국가기술자격만 기재하시기 바랍니다. 기타자격증(외국어, 컴퓨터활용 능력 등)은 기재하지 마십시오.
Q. 제출 완료 후 지원서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한가요?
A. 지원서 접수 마감 전까지 지원자 본인이 수정 및 접수 취소 가능합니다. 지원서 접수 마감일에는 지원자가 몰려 입사지원이 어려울 수 있으니 여유 있게 미리 제출 하신 후 수정이 필요할 경우 수정 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십니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용 세발자전거 추천 라디오플라이어 접이식 자전거 (0) | 2023.03.19 |
---|---|
콜키지프리 식당 지도 술값 인상 콜키지 뜻 (0) | 2023.03.19 |
맥북 파우치 가방 추천 탐탁 tomtoc 개봉기 (0) | 2023.02.20 |
맥북 필수 단축키 유용한 단축키 30가지 정리 (0) | 2023.02.16 |
업무 스트레스 산재신청 우울증 직장내괴롭힘 (0) | 2023.01.31 |